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주린이 모여라

[주린이시리즈] 1-5. 주린이 주식차트 읽기! - 주당순이익, 너는 누구냐?

안녕하세요, 여러분! 코즈믹입니다.
주린이시리즈 5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도 잘 부탁드립니다.

지난 시간에는 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서 쉽게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주당순이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당순이익을 쉽게 설명한다면?

주당순이익, Earning Per Share(EPS)

당기순이익(회사가 벌어들인 일정기간의 수익에서 운영하는데 들어간

비용을 뺀 나머지 순수익)을 총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때문에 당기순이익의 규모가 증가할 경우,

주당순이익도 높아지게 됩니다.(분자인 당기순이익이 커지기 때문)

반대로 신주 발행 등으로 총 주식수가 늘어날 경우(증자),

주당순이익은 낮아지게 됩니다.(분모인 총 주식수가 커지기 때문)

 

2. 주당순이익(EPS)의 종류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기본주당순이익(Basic EPS)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일반적인 방법으로 계산한 주당순이익으로

우선주가 있을 경우, 당기순이익에서 우선주 배당금을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두 번째는 희석주당순이익(Diluted EPS)입니다.

희석주당순이익의 경우,

기본주당순이익 공식의 분자에 조정액을 더하

분모에는 잠재적 보통주 주식수를 더하여 계산합니다.

우리나라 K-IFRS에서는 이 두 가지를 모두 공시하도록 되어있는데요,

희석주당순이익을 공시하도록 한 이유는

잠재적 보통주의 권리행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당순이익의 하락에

기존 주주들이 손해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제공을 하도록 규정된 것입니다.

 

3. 주당순이익(EPS)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주당순이익은 보통 1년간 회사가 주식 1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에 대한 지표가 됩니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의 경영실적이 양호하고 배당여력도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주당순이익은 회사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다음과 같이 예상주가를 구할 수 있습니다.

주가수익비율이 증가하는 시기는 주당순이익이 증가하는 시기와

통계적으로 거의 일치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수익비율이 낮다고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는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은

확률적으로 굉장히 위험한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주당순이익으로 회사와 산업을 분석하자면,

아래와 같이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특정회사의 주당순이익이 늘어난다 → 해당회사의 시장지배력이 확대

특정산업의 주당순이익이 늘어난다 → 기술혁신이 진행 중

 

오늘은 여기까지!
오류가 있거나,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다음 편은 시가총액, 너는 누구냐?로
돌아오겠습니다~
코즈믹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